기초 영문법(제 20 강) > 자유게시판

본문 바로가기
사회복지법인 DongHaeng 1963 아이들의 행복과 장애로 인한 불편함이
편견이 되지 않는 사회

자유게시판

자유게시판

  • 게시판
  • 자유게시판

기초 영문법(제 20 강)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Mason할배
댓글 2건 조회 173회 작성일 25-03-14

본문

기초 영문법(20 )

==

Step 15 : 수여, 사역, 지각 동사

==

동사 = be 동사 + 조동사 + 일반 동사

일반 동사는 1.수여동사 + 2.사역동사 +3.지각동사로 나눌 수 있다.

 

1. 수여동사

= 4형식 동사 (목적어를 2개 가지는 동사) =

간접 목적어 = 사람 목적어,

직접 목적어 = 사물 목적어

...

누구에게(간접 목적어)

무엇을(직접 목적어) ~주다는 의미를 가진 동사를 수여동사.

 

대표적인 수여동사

give(주다), show(보여주다), send(보내주다), teach(가르쳐주다), tell(말해주다), make(만들어주다), bring(가져다주다), offer(제공해주다), cook(요리해주다)

==

He gave money. / 그는 돈을 주었다.

주어(He) + 동사(gave) + 목적어(money)

동사(gave)의 대상이 목적어(money).

목적어가 있어야 "무엇을" 주었는지 알 수 있다.

...

여기에 "누구에게" 주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.

He gave money to me. / 그는 나에게 돈을 주었다.

주어(He) + 동사(gave) + 목적어(money) + 수식어(to me)

위와 같이 수식어(to me)를 추가하면 보다 명확한 의미가 된다.

...

give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는 "무엇을" 주는지와

더불어 "누구에게" 주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.

전치사를 빼버리고 아래와 같이 보다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.

...

He gave me money. / 그는 나에게 돈을 주었다.

주어(He) + 동사(gave) + 간접 목적어(me) + 직접 목적어(money)

수식어(to me) 였던 것이 전치사(to)를 버려 버리고 간접 목적어로 변신했다.

==

2. 사역동사(Causative Verb) :

"직접 하지 않고 어떤 행위 등을 유발하는 동사"가 더 적합한 표현인 듯

하나 이미 사역동사로 널리 쓰이고 있으니 사역동사라고 한다.

무엇을 ~하게 하다는 의미를 가진 동사.

 

대표적인 사역동사로

have(시키다), make(시키다), let(허용하다), get(하게 하다), help(하는 것을 돕다)

==

I had my hair cut today. / 나 오늘 머리 잘랐어.

주어(I) + 동사(had) + 목적어(my hair) + 목적격 보어(cut) + 수식어(today)

주어(I)가 동사(had)의 주체가 맞다.

이때 나는 머리를 자르게 요청한 것이고, 실제 머리를 자른 분은 다른 사람.

.

그리고 목적격 보어는 과거분사.

내 머리(my hair)가 누군가에 의해서 잘려졌으니 수동 관계이기 때문이다.

.

만일 머리 잘라준 사람(Joy)까지 말하고 싶다면 by Joy를 붙일 수도 있다.

I had my hair cut today by Joy. / 나 오늘 Joy한테 머리 잘랐어(깎았어).

==

3. 지각 동사

보다, 듣다, 느끼다 등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, 감각을 인지하는 동사로 이해.

대표적으로

see(보다), hear(듣다), listen(듣다),smell(냄새맡다),feel(느끼다), notice(인지하다) .

==

5형식일 때 "목적어가 ~하는 것을 보거나, 듣거나, 느끼다"의 의미.

...

I saw the sun rise this morning. / 나는 오늘 아침 해가 뜨는 것을 보았다.

목적어(the sun)가 뜨는 것을 보았다.

==

I felt someone tap my shoulder. / 누가 내 어깨를 톡톡 치는 것을 느꼈다.

목적어(someone)가 내 어깨를 톡톡 치는 것을 느꼈다

사역동사, 지각동사로 분류되는 동사는 5형식이 가능한 동사이지,

5형식으로만 쓰는 동사는 아니다.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.

...

I felt cold and hungry. / 나는 춥고 배가 고팠다.

주어(I) + 동사(felt) + 주격 보어(cold and hungry) 2형식

==

Can you hear that? / 저 소리 들려?

3형식: 조동사(Can) +

댓글목록

profile_image

Mason할배님의 댓글

Mason할배 작성일

5형식일 때 "목적어가 ~하는 것을 보거나, 듣거나, 느끼다"의 의미.
...
I saw the sun rise this morning. / 나는 오늘 아침 해가 뜨는 것을 보았다.
목적어(the sun)가 뜨는 것을 보았다.
==
I felt someone tap my shoulder. / 누가 내 어깨를 톡톡 치는 것을 느꼈다.
목적어(someone)가 내 어깨를 톡톡 치는 것을 느꼈다
사역동사, 지각동사로 분류되는 동사는 5형식이 가능한 동사이지,
5형식으로만 쓰는 동사는 아니다.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.
...
I felt cold and hungry. / 나는 춥고 배가 고팠다.
주어(I) + 동사(felt) + 주격 보어(cold and hungry)  2형식
==
Can you hear that? / 저 소리 들려?
3형식: 조동사(Can) + 주어(you) + 동사(hear) + 목적어(that)  3형식
==
지각동사의 목적격 보어
지각동사의 목적격 보어는 원형부정사와 현재분사(~ing)가 많이 쓰임.
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가 수동일 때는 과거분사(~ed)를 사용.
...
He watched her walk down a road.
 / 그는 그녀가 길을 따라 내려가는 것을 보았다.
목적보어(walk)가 원형부정사(동사원형). 전체 행동을 봤다는 의미
He watched her walking down a road.
 / 그는 그녀가 길을 따라 내려가고 있는 것을 보았다.
목적보어(walk)가 현재분사(-ing)
봤을 때 동작이 진행 중(일부 행동만 봤다)
목적어와 목적격보어의 관계가 수동의 의미일 때는 과거분사를 목적격보어로 사용.
==
==

profile_image

Mason할배님의 댓글

Mason할배 작성일

원글에 올라가지 않은 부분을 여기에 올린다.


[59728] 전남 여수시 연등1길 38
대표자 : 김대환 | 대표전화 : 061-663-3937
팩스 : 061-663-7223 | 사업자등록번호 : 417-82-06547

후원계좌

농협은행 301-0201-2140-71 사회복지법인 동행

기부금 영수증 등 후원내역 관리를 위해서 계좌입금 후 연락 부탁드립니다.